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대 대선, 누가 투표했나? 숫자로 본 표심의 흐름 - 20대 대통령선거 지역별, 연령별, 성별 투표율

by 아너스88 2025. 4. 24.

20대 대통령선거 남성 연령대별 투표율
20대 대통령선거 남성 연령대별 투표율
20대 대통령선거 여성 연령대별 투표율
20대 대통령선거 여성 연령대별 투표율

 

 

 

1. 전체 개요

두번째 대통령 파면이라는 민주주의의 흑역사를 쓴 20대 대통령 선거는 전체 유권자 대비 투표자수가 약 77% 내외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 고연령층의 투표율이 매우 높은 반면, 젊은 층의 투표율은 다소 낮은 경향이 보입니다. 또한, 지역 및 성별에 따라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여 선거 전략 및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 연령대별 분석

  • 젊은 층(18세~29세):
    18세와 19세의 경우 각각 71% 내외의 투표율을 기록하였으며, 20-24세와 25-29세 역시 70%대 초중반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젊은 층의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은 선거에 대한 관심 부족, 정보 접근성 문제, 혹은 정책적 소외감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18세 성별, 지역별 투표율
18세 성별, 지역별 투표율
25 ~ 29세 성별, 지역별 투표율
25 ~ 29세 성별, 지역별 투표율

  • 중·장년층(30대~60대):
    30대부터 60대까지는 70% 후반에서 80% 초반의 투표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50대의 경우 투표율이 안정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당 연령대가 정치적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40대 성별, 지역별 투표율
40대 성별, 지역별 투표율

  • 고연령층(70세 이상):
    70-79세의 투표율은 87% 이상, 일부 구간에서는 86% 이상으로 기록되어 이번 선거의 특징적인 부분으로 두드러집니다. 반면 80세 이상에서는 투표율이 61%로 다소 낮은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건강상의 문제나 이동의 어려움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70대 성별, 지역별 투표율
70대 성별, 지역별 투표율

3. 성별 분석

  • 남성과 여성의 투표율 차이:
    자료에서 지역별로 남성과 여성의 투표율 차이를 보면, 일부 지역에서는 남성의 투표율이 여성보다 약간 높거나, 반대의 경우도 관찰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나 부산광역시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큰 격차는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성별에 따른 미세한 차이는 각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유권자 동원 전략에 반영될 필요가 있습니다.

4. 지역별 분석

  • 대도시 vs. 지방:
    • 서울·부산·대구 등 대도시:
      대도시의 경우 투표율이 전반적으로 70% 후반에서 80% 초반을 유지하며, 특히 국민의 힘의 지역색이 강한 부산이나 대구 등에서는 특정 연령대별로 높은 참여율이 두드러집니다.
    • 중소도시 및 도 단위:
      일부 도 단위 지역은 60~70%대의 투표율을 기록하는 반면, 특정 지역에서는 80%를 넘는 높은 참여율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는 각 지역의 정치적 관심도, 인구구조, 지역정책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 특이한 지역적 패턴:
    울산, 인천, 광주 등에서는 남녀 간, 혹은 연령대별 투표율의 차이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입니다. 지역마다 경제·사회적 여건 및 정치적 이슈가 다르게 작용하면서 투표 참여율에도 차이를 만들어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5. 다른 선거와 비교한 특이점

  • 고연령층의 높은 투표율:
    보통 대통령 선거에서는 고연령층의 투표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이번 선거에서는 70-79세의 투표율이 87% 이상으로 집계된 점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고연령층이 정책 결정에 더욱 관심을 가지거나, 해당 선거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했음을 시사합니다.
  • 젊은 층의 낮은 참여:
    지난 선거와 비교할 때도 젊은 층의 낮은 투표율은 지속적인 문제로 보입니다. 특히 20대 초반의 투표율이 70% 미만으로 나타난 점은 향후 대통령 후보자나 정당들이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유인책을 가지고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를 위한 정책적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 성별 참여의 미세한 차이:
    다른 선거에서는 남녀 간 참여율 차이가 크게 부각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번 선거에서는 전반적으로 큰 격차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는 성평등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남녀 모두 정치 참여에 관심을 갖게 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 지역별 편차:
    대도시와 지방 간의 투표율 차이가 존재하는 점 역시 특이점으로 지적됩니다. 특히 경제활동 및 도시화 정도에 따라 유권자들의 정치 참여 방식이 달라지는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선거 전략 수립 시 각 지역별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치 특성상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뚜렷한 정치색이 나타나는 것에 기인을 한 것 같기도 합니다.

6. 결론

이번 20대 대통령 선거의 데이터는 전반적으로 고연령층의 높은 참여와 젊은 층의 상대적으로 낮은 투표율, 그리고 지역별·성별로 미세한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특히 70대의 높은 투표율과 젊은 층의 낮은 참여율은 향후 선거에서 유권자 동원 전략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별 투표율의 편차는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앞으로의 정책 및 선거 전략에 있어 지역 맞춤형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대통령 탄핵에 의한 파면상황에서 다시 치러지는 21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각 지역별, 연령대별 투표율이 어떻게 될까 궁금합니다.

 

[근거데이터]

구분 전국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남자(18세) 67.8 69.9 67.3 72 68.6 75.5 71.3 67.2 69.7
여자(18세) 75 75.8 74 79.3 76.7 83.7 75.4 73.6 78.1
남자(19세) 70.7 72.6 68.1 74 70.8 76.8 69.6 71.4 72.8
여자(19세) 74.5 75.3 72.8 77.7 77.2 85.1 74.4 73.1 71.1
남자(20-24세) 70 72.2 69 73.9 69.5 74.9 70.1 70.8 73.8
여자(20-24세) 73.4 75.7 71 75.1 72.6 78.9 71.4 74.5 76.3
남자(25-29세) 66.3 70 64 68 64.3 68.7 64.4 67.3 70.9
여자(25-29세) 75.2 78.4 71.3 76.9 73.7 77.8 74.6 76.5 79
남자(30-34세) 68.3 72.2 64.6 69.9 65.5 71.5 65.8 70.4 77.1
여자(30-34세) 73.7 77.6 69.5 74.4 72 77 71.9 74.9 80.6
남자(35-39세) 69 72.6 64.1 70.1 66.4 72.2 67.5 70.7 78.1
여자(35-39세) 72.2 74.9 67.7 75.1 69.8 78.3 72.1 72.3 77.4
남자(40-49세) 72.8 74.5 68.3 72.6 70.2 79.2 72.3 73.6 79.2
여자(40-49세) 75.7 76.3 72 76.8 73.4 83.3 75 76.2 81.5
남자(50-59세) 80.8 79.9 77.6 80.9 78.6 86.1 80.4 82.7 85.6
여자(50-59세) 82 80.7 79.9 84.9 79.8 88.3 80.8 84.5 85.1
남자(60-69세) 88.2 86.6 86 89.9 86.7 90.9 88 89.9 90.1
여자(60-69세) 87.1 86.3 86.6 90.2 85.2 90 86.2 88.1 88.7
남자(70-79세) 89.2 88.6 88 90.6 87.8 90.2 90 90.2 90.5
여자(70-79세) 83.6 83.8 83.4 86.1 81 86.2 82 83.3 84.4
남자(80세이상) 75 74.7 74.1 75.4 75 76.7 77.1 75.6 74.2
여자(80세이상) 55 55.9 52.8 57.5 49 58.5 54.4 47.5 46.9

 

구분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남자(18세) 68.8 59.3 65.7 61.2 70.5 67.4 64.1 64 57.8
여자(18세) 76.6 71 66.2 70.5 77.8 75 71.4 71 65.8
남자(19세) 71.1 64.2 68.4 65.2 74 69.9 69.3 71.3 62.3
여자(19세) 75.9 72.7 69.1 66.7 76.4 75.3 70.8 71.7 64.5
남자(20-24세) 70.4 66.6 66.6 64.8 72.1 69.7 67.1 67.5 63
여자(20-24세) 74 70 69 69.4 76.1 73.5 69.5 71.6 66.4
남자(25-29세) 66 65.3 63.5 62.1 66.4 67.3 65 64 60
여자(25-29세) 75.1 69.4 72 71.3 76.4 77.8 72.1 73.4 69.3
남자(30-34세) 68.2 65.8 66 65.2 67.8 68.9 66.6 66.8 60.9
여자(30-34세) 73.6 69 68.8 69.7 75.8 74.5 71.1 71.3 67.3
남자(35-39세) 69.5 65.2 65.7 64.8 71 71.3 66.5 67.6 65.1
여자(35-39세) 72.6 67.4 68.6 68.6 75.2 75.5 69.2 70.1 69.8
남자(40-49세) 73.4 70.9 70.4 69.1 77.1 77.8 70.8 70.3 68.8
여자(40-49세) 76.1 72.2 72.4 72.1 81.2 81.7 75.5 74 70.4
남자(50-59세) 80.6 79.6 80.3 79.5 85.7 85.8 82.3 80.1 77.4
여자(50-59세) 81.4 80.3 80.4 80.1 86.3 87.7 85.1 82.8 77
남자(60-69세) 87.4 88.9 89.1 88.6 90.6 90 90.7 88.9 85.5
여자(60-69세) 85.5 86.5 86.6 85.8 89.7 90.3 90.6 87.7 82.8
남자(70-79세) 88.5 89.8 89.5 89.7 90.4 90.7 91.2 89.1 87.7
여자(70-79세) 82.5 83.5 82.6 80.3 85.6 86.4 86.1 83.8 80.8
남자(80세이상) 73.9 74.9 74.5 72.9 78.5 77.8 75.8 74.8 73.9
여자(80세이상) 52.3 54.8 52.6 50.4 60.5 61.9 58.4 55.4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