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도로교통공단 세부 교통사고 건수 분석 (서울시)

by 아너스88 2025. 3. 31.

서울시 구별 교통사고 사고건수
서울시 구별 교통사고 사고건수

 

2023년 서울시 각 구별 교통사고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서울시 내 주요 구별로 사고 발생 건수, 사망자, 중상자, 경상자, 부상신고자 수 등의 지표를 중심으로, 각 구의 교통안전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작성되었습니다.


1. 전체적인 개요

서울시는 전국에서 가장 복잡한 교통체계를 갖추고 있는 대도시로서, 교통사고 통계 역시 각 구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등 주요 상업 및 주거지역에서는 사고 건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이는 도로 혼잡과 교통량 증가에 따른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도봉구나 금천구 등 일부 구에서는 전체 사고 건수가 낮은 편이지만, 사고 발생 시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각 구의 특성을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구별 교통사고 건수 (순위별)
구별 교통사고 건수 (순위별)


2. 구별 주요 지표 및 특성

① 강남구

  • 사고건수: 3,926건
  • 사망자: 7명
  • 중상자: 698명
  • 경상자: 4,171명
  • 부상신고자: 360명

강남구는 서울 내에서도 특히 교통량이 많고 복잡한 도로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고 건수는 가장 많으나, 사망자 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이는 교통사고가 주로 경미한 부상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음을 시사합니다. 다만, 중상자와 경상자의 수가 높은 만큼, 사고 발생 시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다수 존재하며, 이는 도로 설계 개선 및 교통 혼잡 해소의 필요성을 암시합니다.

② 송파구

  • 사고건수: 2,614건
  • 사망자: 10명
  • 중상자: 603명
  • 경상자: 2,621명
  • 부상신고자: 379명

송파구는 주요 도로와 대형 상업시설, 주거지역이 밀집해 있어 교통사고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사망자 수가 10명으로 다소 높은 점이 눈에 띄는데, 이는 사고 발생 시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음을 의미합니다. 송파구는 보행자 보호와 함께 차량 통행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지역입니다.

③ 서초구

  • 사고건수: 2,168건
  • 사망자: 7명
  • 중상자: 477명
  • 경상자: 2,694명
  • 부상신고자: 148명

서초구 역시 상업과 주거가 혼합된 지역으로, 도로 이용이 빈번합니다. 사고 건수는 높지만 사망자 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사고가 경미한 부상으로 마무리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중상자와 경상자 수가 높은 만큼, 사고 후 빠른 응급 대응과 안전 인프라 개선이 요구됩니다.

④ 기타 주요 구

  • 영등포구 (사고건수 1,900건, 사망자 7명, 중상자 449명, 경상자 1,938명, 부상신고자 232명):
    영등포구는 업무 및 상업 중심지로, 차량 및 보행자 혼재 구간에서 사고 발생이 빈번합니다.
  • 동대문구 (사고건수 1,674건, 사망자 10명, 중상자 424명, 경상자 1,452명, 부상신고자 163명):
    동대문구는 전통시장과 유동 인구가 많아, 보행자 중심 사고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납니다.
  • 마포구 (사고건수 1,250건, 사망자 14명, 중상자 282명, 경상자 1,257명, 부상신고자 176명):
    마포구는 젊은 층이 많이 거주하고 유동 인구가 많아, 야간 및 주말 시간대 사고 빈도가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강서구 (사고건수 1,518건, 사망자 9명, 중상자 367명, 경상자 1,506명, 부상신고자 239명):
    강서구는 대규모 주거지역과 공항 접근성이 있는 특성상 교통량이 많은 편이며,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체계가 필요합니다.

또한, 종로구, 중구, 용산구 등 도심 지역은 상대적으로 사고 건수는 낮은 편이지만, 도로 이용 환경이 복잡하여 사고 유형 및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구별 사고건수 대비 사망건수 비교
구별 사고건수 대비 사망건수 비교


3. 사고 특성 및 원인 분석

서울시 각 구의 교통사고 통계를 통해 몇 가지 공통된 특성과 함께 구별 특수성이 나타납니다.

  • 도로 혼잡과 교통량: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등 주요 상업 및 업무 지구는 도로 혼잡도가 높아 사고 발생 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교통신호 체계의 재정비와 도로 확장 또는 개선이 필요합니다.
  • 보행자 안전:
    동대문구, 종로구 등 보행자 밀집 지역에서는 신호 위반, 보행자 부주의 등으로 인한 사고가 다수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행자 안전 인프라 강화와 관련 법규의 철저한 시행이 요구됩니다.
  • 야간 및 음주운전:
    일부 구에서는 야간 시간대에 음주운전 관련 사고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므로, 야간 단속 강화 및 음주운전 예방 캠페인의 지속적 실시가 필요합니다.
  • 응급구조 체계:
    중상자와 경상자의 수가 많은 구에서는 사고 후 응급구조 및 병원 이송 체계가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각 구별 응급의료 인프라 점검 및 개선이 중요합니다.

4.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서울시 교통사고 통계를 토대로, 보다 안전한 도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몇 가지 정책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교통 인프라 개선:
    주요 사고 다발 구역의 도로 설계 및 신호체계를 재검토하고, 혼잡 지역에 대한 도로 확장 및 보행자 전용 구역 마련 등 물리적 안전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전 교육 및 캠페인: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안전 교육 프로그램과 캠페인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음주운전 및 과속과 같은 주요 사고 원인을 줄이는 데 주력해야 합니다.
  • 응급 대응 체계 강화:
    사고 발생 시 빠른 응급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구별 응급의료체계와 연계한 교통안전센터 운영, 사고 다발 지역에 대한 CCTV 및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이 필요합니다.
  • 지역 맞춤형 대책:
    각 구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안전 정책 수립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강남구와 같이 도로 이용 빈도가 높은 지역은 차량 통행 제어 및 보행자 보호를, 동대문구와 같이 보행자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은 횡단보도 및 신호 체계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5. 결론

2023년 서울시 교통사고 통계를 기반으로 한 분석 결과, 각 구별로 사고 발생 건수와 부상자 수, 그리고 사망자 수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와 같은 주요 구역은 높은 교통량과 복잡한 도로 환경으로 인해 사고 발생 건수가 많지만, 사고의 경미한 부상으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다수인 반면, 일부 구에서는 사고 발생 시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사례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가 구별 특성에 맞는 세밀한 교통안전 정책을 마련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이번 분석 보고서를 통해 서울시 내 각 구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향후 정책 수립 및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근거 데이터]

시군구 사고건수 사망자수 중상자수 경상자수 부상신고자수
종로구 988 8 240 1009 82
중구 931 3 217 877 100
용산구 996 11 261 1077 28
성동구 919 6 203 959 59
동대문구 1674 10 424 1452 163
성북구 1256 8 310 1136 135
도봉구 530 7 146 469 70
은평구 1039 7 278 981 94
서대문구 916 4 205 877 138
마포구 1250 14 282 1257 176
강서구 1518 9 367 1506 239
구로구 1359 5 313 1322 205
영등포구 1900 7 449 1938 232
동작구 1242 6 281 1232 155
관악구 980 10 273 925 54
강남구 3926 7 698 4171 360
강동구 1185 4 312 1146 64
송파구 2614 10 603 2621 379
서초구 2168 7 477 2694 148
양천구 1221 5 250 1258 116
중랑구 1268 7 368 1182 154
노원구 1366 9 285 1410 174
광진구 717 4 127 722 50
강북구 972 5 204 940 73
금천구 876 7 236 904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