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도로교통공단 세부 교통사고 건수 분석 (경기도)

by 아너스88 2025. 4. 1.

경기도 시군구별 교통사고 건수 (2023년)
경기도 시군구별 교통사고 건수 (2023년)

 

2023년 경기도 내 교통사고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한 분석 내용입니다. 이 내용은 경기도의 주요 시·군별로 사고 건수, 사망자, 중상자, 경상자, 부상신고자 수 등의 지표를 면밀히 분석하여, 각 지역의 교통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합니다.


1. 전체 개요

경기도는 수도권의 핵심 지역으로, 인구 밀집과 산업, 상업이 발달한 도시들이 다수 분포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도로 이용량과 교통 혼잡도가 높아 사고 발생 건수도 많은 편입니다. 이번 통계 자료는 경찰에서 조사한 인적 피해가 있는 교통사고만을 대상으로 하여, 사고의 심각성과 빈도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입니다.

경기도 시군구별 교통사고 건수
경기도 시군구별 교통사고 건수


2. 주요 시·군별 교통사고 현황 및 특징

수원시

  • 사고건수: 4,744건
  • 사망자: 30명
  • 중상자: 1,082명
  • 경상자: 5,183명
  • 부상신고자: 423명

수원시는 경기도의 중심 도시로서, 높은 교통량과 복잡한 도로망이 특징입니다. 사고 건수가 매우 높은 만큼, 평소 차량과 보행자 간의 충돌 위험이 상존하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의 혼잡은 중상 및 경상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통 신호 체계 개선 및 보행자 보호 대책이 시급한 지역입니다.

성남시

  • 사고건수: 3,838건
  • 사망자: 20명
  • 중상자: 929명
  • 경상자: 4,301명
  • 부상신고자: 448명

성남시는 대도시의 교통 혼잡과 인구 증가에 따른 문제로 사고 건수가 높게 나타납니다. 주요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혼재해 있어 도심 내에서의 사고 위험이 높으며, 특히 교차로와 보행자 통행이 많은 지역에서는 보행자 안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합니다.

안산시 & 부천시

  • 안산시: 사고건수 3,733건, 사망자 19명, 중상자 877명, 경상자 4,136명, 부상신고자 392명
  • 부천시: 사고건수 3,478건, 사망자 20명, 중상자 647명, 경상자 3,683명, 부상신고자 288명

두 도시는 수도권 남부에 위치하면서 주거 및 산업 지역이 공존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사고 건수와 부상자 수가 높으며, 산업단지와 연계된 차량 운행 및 출퇴근 시간대의 혼잡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안산시는 중상자와 경상자의 수가 높아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응급 대응과 도로 안전 개선이 필요합니다.

평택시 & 화성시

  • 평택시: 사고건수 3,479건, 사망자 39명, 중상자 840명, 경상자 3,669명, 부상신고자 623명
  • 화성시: 사고건수 3,352건, 사망자 33명, 중상자 815명, 경상자 3,789명, 부상신고자 469명

평택시와 화성시는 산업 및 물류 중심지로 발전하면서 대형 차량의 이동이 빈번해 사고의 규모와 치명률이 다소 높은 편입니다. 특히 평택시의 경우 사망자 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도로 안전 시설 개선과 더불어 산업단지 주변의 교통 통제 강화가 요구됩니다.

용인시 & 고양시

  • 용인시: 사고건수 3,611건, 사망자 33명, 중상자 835명, 경상자 4,276명, 부상신고자 454명
  • 고양시: 사고건수 3,603건, 사망자 26명, 중상자 829명, 경상자 4,071명, 부상신고자 396명

용인시와 고양시는 수도권의 주요 위성도시로서, 인구 증가와 함께 차량 통행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들 지역은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급격하게 확산되면서 도로 구조 개선 및 신호 체계 재정비가 필수적입니다. 사고 건수가 높은 만큼, 보행자와 차량 간의 충돌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기타 소규모 시·군

경기도 내 나머지 지역(예: 의정부시, 구리시, 양주시, 여주시, 시흥시, 파주시,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 양평군,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동두천시, 과천시, 군포시, 남양주시, 오산시, 의왕시, 하남시 등)은 도심 대도시에 비해 사고 건수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도로 환경 및 교통 인프라 측면에서 취약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특히 소규모 도시나 군 지역에서는 도로 폭이 좁고, 신호체계가 미흡한 경우가 많아 사고 발생 시 중상 및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경기도 시군별 사고건수 대비 사망건수
경기도 시군별 사고건수 대비 사망건수


3. 사고 특성 및 원인 분석

  • 고밀도 차량 통행:
    경기도의 주요 도시들은 인구와 차량 수가 많아 교통 혼잡도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교차로 및 주요 도로에서의 충돌 위험이 증가하고, 사고 발생 시 부상 규모도 큰 경향을 보입니다.
  • 산업 및 물류 지역의 특성:
    평택시, 화성시 등 산업단지와 연계된 지역은 대형 차량의 운행이 빈번하며, 이로 인해 사고 발생 시 충격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평택시의 높은 사망자 수는 대형 차량과의 충돌, 또는 고속도로에서의 사고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 주거 및 상업 지역의 혼재:
    수원시, 성남시, 안산시, 부천시 등은 주거와 상업이 혼재된 도시로, 출퇴근 시간대와 주말 등 특정 시간대에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른 응급 대응 체계 강화와 도로 안전 개선이 요구됩니다.
  • 소규모 도시의 구조적 한계:
    경기도 내 일부 소규모 도시 및 군 지역은 상대적으로 도로 인프라가 열악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 및 응급 의료 지원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사고 후 피해 확대의 요인이 될 수 있어, 지역별 맞춤형 안전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4. 정책 및 개선 방안

경기도의 교통사고 현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합니다.

  • 교통 인프라 및 신호체계 개선:
    주요 도시에서는 혼잡한 교차로와 도로 구조 개선을 위한 재정비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밀도 차량 통행 지역의 경우 신호 체계 최적화와 도로 확장, 보행자 전용 구역 마련 등을 추진해야 합니다.
  • 산업단지 주변 안전 강화:
    평택시와 화성시 등 산업 중심지에서는 대형 차량 운행과 관련된 안전 시설을 보강하고, 산업단지 주변의 교통 통제 및 안전 표지판, 감속 시설 등을 설치하여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 응급 구조 및 의료 체계 강화:
    교통사고 발생 후 신속한 구조와 응급 처치를 위한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 도시뿐 아니라 소규모 지역에서도 응급 의료 인프라와 구조 시스템을 점검 및 개선하여 사고 후 대응 시간을 단축해야 합니다.
  • 지역 맞춤형 안전 교육 및 캠페인:
    경기도 각 도시의 특성에 맞춰 운전자 및 보행자를 대상으로 한 안전 교육과 캠페인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특히 출퇴근 시간대와 야간에 집중적인 안전 단속을 통해 사고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5. 결론

경기도는 수도권의 중요한 축으로서, 인구와 차량 수의 증가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매우 높은 지역입니다. 주요 도시와 산업 중심지에서는 도로 혼잡과 대형 차량 운행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두드러지며, 소규모 지역 역시 구조적 한계로 인해 사고 시 피해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경기도 내 각 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지역별 맞춤형 안전 정책과 인프라 개선의 필요성이 재확인되었습니다.

이 보고서가 경기도의 교통안전 대책 수립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책 개선을 통해 보다 안전한 도로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합니다.

 

[근거 데이터]

시군구 사고건수 사망자수 중상자수 경상자수 부상신고자수
수원시 4744 30 1082 5183 423
성남시 3838 20 929 4301 448
의정부시 1529 12 315 1551 271
안양시 1263 18 384 1344 66
부천시 3478 20 647 3683 288
안산시 3733 19 877 4136 392
평택시 3479 39 840 3669 623
광명시 1047 7 232 1085 150
구리시 702 8 184 813 39
양주시 1227 10 262 1338 109
여주시 520 12 151 736 34
화성시 3352 33 815 3789 469
시흥시 2177 23 520 2442 367
파주시 1730 20 478 1744 237
고양시 3603 26 829 4071 396
광주시 2129 18 408 2536 289
연천군 176 6 52 176 21
포천시 652 15 249 845 18
가평군 357 10 117 443 33
양평군 504 9 152 632 56
이천시 987 30 261 1123 123
용인시 3611 33 835 4276 454
안성시 1068 19 304 1242 176
김포시 1796 13 448 2096 135
동두천시 314 5 67 326 19
과천시 151 2 30 172 9
군포시 488 5 153 480 71
남양주시 1942 21 484 2270 166
오산시 998 6 224 1006 210
의왕시 364 4 93 457 17
하남시 1205 9 302 1255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