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분석 데이터 : 서울시 교통공사 지하철 혼잡도 (2025년 2월 기준) 2. 참고 수치 : 서울교통공사 1-8호선 30분 단위 평균 혼잡도로 30분간 지나는 열차들의 평균 혼잡도(정원대비 승차인원 으로, 승차인과 좌석수가 일치할 경우를 혼잡도 34%로 산정) 입니다.(단위: %). 서울교통공사 혼잡도 데이터는 요일 구분(평일, 토요일, 일요일), 호선, 역번호, 역명, 상하선구분, 30분단위 별 혼잡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이 자료에서 제공하는 도표는 평일 기준으로만 수치를 제시하였습니다. 4. 도표에서 주황색 점선은 혼잡도 평균 5. 도표에서 녹색 표시 색깔은 평균 혼잡도(승차인과 좌석수가 일치할 경우의 확율) 34% |
서울교통공사의 지하철 혼잡도 데이터를 분석해 본 결과, 건대입구역은 서울의 주요 환승역 중에서도 독특한 혼잡 패턴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특히 평일 저녁 시간대 7호선 상선(장암 방면)의 혼잡도가 131.8%에 달해 정원보다 31.8%나 많은 승객이 탑승하는 극심한 혼잡을 보이고 있으며, 출퇴근 시간대에 호선별, 방향별로 뚜렷한 혼잡 패턴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대입구역의 혼잡도를 2호선과 7호선, 각 방향별로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건대입구역 개요 및 위치적 특성
건대입구역(建大入口驛)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입니다. 1980년 10월 31일 2호선(당시 화양역)이 먼저 개통되었고, 1996년 10월 11일 7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습니다. 2호선은 지상 고가역이고 7호선은 지하역으로,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건대입구역은 인근에 건국대학교와 어린이대공원이 있고, 스타시티와 같은 대형 주상복합단지와 상업시설이 밀집해 있어 학생, 통근자, 쇼핑객 등 다양한 목적의 이용객이 많습니다. 특히 1번과 2번 출구의 건대맛의거리, 5번과 6번 출구의 건대로데오거리는 젊은 층이 많이 찾는 번화가로 유명합니다.
2. 노선별, 방향별 혼잡도 분석
서울교통공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건대입구역의 노선별, 방향별 혼잡도는 다음과 같이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가. 평일 혼잡도 비교
- 2호선 내선(성수→구의 방향): 최대 혼잡도 56.2%(18시30분), 평균 31.2%
- 2호선 외선(구의→성수 방향): 최대 혼잡도 69.3%(08시00분), 평균 33.3%
- 7호선 상선(어린이대공원→장암 방향): 최대 혼잡도 131.8%(18시00분), 평균 52.4%
- 7호선 하선(장암→어린이대공원 방향): 최대 혼잡도 110.7%(08시00분), 평균 44.9%
놀랍게도 7호선의 혼잡도가 2호선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7호선 상선(어린이대공원→장암 방향)이 평일 18시에 131.8%로 가장 혼잡했고, 7호선 하선도 아침 8시에 110.7%의 높은 혼잡도를 보였습니다. 이는 각각 정원의 1.3배와 1.1배가 넘는 승객이 탑승한 상태로, 상당히 불편한 통행 환경임을 의미합니다.
반면, 2호선은 상대적으로 혼잡도가 낮아 내선의 경우 56.2%, 외선의 경우 69.3%의 최대 혼잡도를 보였습니다. 이는 2호선이 순환선으로 운행 빈도가 높고 승차 용량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나. 일일 승객 총량 비교
평일 기준 노선별 총 승객량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2호선 내선: 1,216.6 (%)
- 2호선 외선: 1,300.1 (%)
- 7호선 상선: 2,042.3 (%)
- 7호선 하선: 1,750.7 (%)
7호선 상선이 압도적으로 많은 승객을 수송하고 있으며, 7호선 하선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2호선은 두 방향 모두 7호선보다 낮은 승객 수송량을 보였습니다.
3. 시간대별 혼잡도 패턴
가. 평일 시간대별 패턴
평일의 경우 뚜렷한 출퇴근 시간대 혼잡 패턴이 관찰되었습니다:
- 오전 첨두시간(08:00~09:00): 2호선 외선과 7호선 하선의 혼잡도가 높게 나타남
- 2호선 외선: 08시00분에 69.3%로 피크
- 7호선 하선: 08시00분에 110.7%로 피크
- 오후 첨두시간(18:00~19:00): 2호선 내선과 7호선 상선의 혼잡도가 높게 나타남
- 2호선 내선: 18시30분에 56.2%로 피크
- 7호선 상선: 18시00분에 131.8%로 피크
이러한 패턴은 아침에는 외곽에서 도심으로, 저녁에는 도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하는 통근 패턴을 반영합니다. 특히 7호선은 상봉, 태릉입구, 노원 등 서울 동북부 지역과 건대입구를 연결하는 중요한 노선으로, 퇴근 시간대에 극심한 혼잡을 보입니다.
나. 주말 혼잡도 패턴
주말에는 평일과 달리 혼잡도가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시간대별 패턴도 달라집니다:
- 토요일:
- 2호선 내선: 15시30분에 50.3%로 피크
- 2호선 외선: 16시30분에 63.7%로 피크
- 7호선 상선: 17시30분에 77.9%로 피크
- 7호선 하선: 09시00분에 76.4%로 피크
- 일요일:
- 2호선 내선: 15시30분에 38.3%로 피크
- 2호선 외선: 13시30분에 45.4%로 피크
- 7호선 상선: 17시30분에 54.9%로 피크
- 7호선 하선: 09시00분에 45.4%로 피크
주말에는 오후 시간대에 혼잡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쇼핑이나 여가 활동을 위한 이동 패턴을 반영합니다. 특히 건대입구 주변의 상권과 문화 시설을 이용하려는 방문객들로 인해 오후 시간대에 혼잡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4. 건대입구역 혼잡의 주요 원인 분석
가. 대학가 및 학생 밀집 지역
건대입구역은 건국대학교의 정문과 가까워 학생들의 이용이 많습니다. 특히 학기 중에는 오전 8시~10시와 오후 5시~7시에 등하교하는 학생들로 인해 혼잡도가 높아집니다. 또한 인근의 세종대학교 학생들도 이 역을 많이 이용합니다.
나. 상업 지구의 발달
건대입구역 주변은 건대 맛의거리, 건대 로데오거리, 스타시티몰 등 상업 시설이 발달해 있어 쇼핑과 식사를 목적으로 하는 방문객이 많습니다. 특히 주말 오후 시간대에는 이러한 상업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로 인해 혼잡도가 높아집니다.
다. 주거 단지와의 연계성
인근의 대형 주상복합단지인 스타시티를 비롯해 다수의 주거 단지가 있어 출퇴근 시간대에 많은 거주자들이 이 역을 이용합니다. 특히 7호선은 중랑구, 노원구 등 서울 동북부 지역의 주거 밀집 지역과 강남, 서초 등 업무 지구를 연결하는 중요한 노선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가 매우 높습니다.
라. 환승역으로서의 기능
건대입구역은 2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으로, 많은 승객들이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기 위해 이 역을 이용합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환승 수요가 집중되어 혼잡도가 더욱 높아집니다.
마. 어린이대공원 방문객
인접한 어린이대공원은 서울의 주요 공원 중 하나로, 주말과 공휴일에 많은 방문객이 찾습니다. 이로 인해 주말 오전과 오후에 어린이대공원 방향으로의 이동이 많아져 혼잡도가 증가합니다.
5. 시간대별 이용 전략
건대입구역을 좀 더 쾌적하게 이용하기 위한 시간대별 전략을 제안합니다:
가. 평일 출퇴근 시 전략
- 오전 출근 시: 8시00분(7호선 하선 110.7%, 2호선 외선 69.3%)을 피해 7시30분 이전이나 8시30분 이후 이용
- 오후 퇴근 시: 18시00분(7호선 상선 131.8%)과 18시30분(2호선 내선 56.2%)을 피해 17시30분 이전이나 19시00분 이후 이용
- 7호선 이용 시: 특히 퇴근 시간대(18시00분)에 상선은 극심한 혼잡(131.8%)을 보이므로 가능하면 다른 시간대나 대체 경로 이용 권장
나. 주말 이용 전략
- 토요일: 오후 3시30분~5시30분 사이(15:30~17:30)는 모든 노선에서 상대적으로 혼잡하므로 이 시간대를 피해 이용
- 일요일: 전반적으로 혼잡도가 낮지만, 오후 1시30분~5시30분 사이는 상대적으로 혼잡할 수 있음
다. 대체 환승 경로 활용
- 2호선과 7호선 간 환승이 목적이라면, 건대입구역 대신 대림역을 이용하는 방안도 고려 가능
- 2호선을 통해 강남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7호선에서 건대입구역보다 청담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때로는 덜 혼잡할 수 있음
6. 결론
건대입구역은 서울의 주요 환승역이자 대학가, 상업 지구, 주거 단지가 밀집한 지역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분석 결과 7호선이 2호선보다 훨씬 혼잡하며, 특히 7호선 상선의 퇴근 시간대(18시00분) 혼잡도가 131.8%로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혼잡한 구간 중 하나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혼잡은 건대입구역의 위치적 특성, 환승역으로서의 기능, 그리고 주변의 대학과 상업 시설, 주거 단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쾌적한 이용을 위해서는 첨두시간대를 피하거나, 대체 경로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시와 광진구의 지속적인 개선 노력을 통해 앞으로 건대입구역의 혼잡도가 점차 완화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무엇보다도 이용객들의 시간대 분산과 대체 경로 활용이 건대입구역의 혼잡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